6월, 2024의 게시물 표시

대화를 한다는 것, 생각을 나눈다는 것 (김어준의 뉴스공장 유튜브채널, 내 이럴 줄 알았다 2024년 6월 24일)

이미지
 사회생활하면서, 특히 직장생활하면서 정말 난감할때가 많다. 회의할때는 서로 다른 입장을 가지고 다른 성향과 지식수준을 가진 사람들을 조율해야할때(다수는 별 생각이 없는 경우가 많고, 별 의욕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너무나 난감하다. 특히, 그 회의의 주재자가 나일때. 420개 기업을 심사해야하는데, 서로 법규만 따지고 있어서 기획안 조차 쓰기 어려운데 그런 대화의 핵심은 극단적인 회의자세이다. 이 짤이 나의 트라우마를 떠올리게 했다. 표정이 모든것을 말해줍니다. 최: 집값이 오를때는 종부세를 올려야 돼요 말아야돼요? 이: 종부세가 그대로 있다면 사람들은 그것에 대해서 순종하고, 투자수요를 크게 증가하지 않아요. 최: 종부세율 때문에 투자 수요를 사람들이 투자 반응을 바꾸나요? 종부세 가만히 두면 부동산 가격이 변동을 안하나요? 부동산 가격이 변동을 하는것은 아시다시피 저금리라던가 공급문제라던가 규제변화 라던가 그런 요인이... 이런 대화의 문제점과 원인은 크게 세가지이다. 1. 선긋고 가둬놓고 대화하기 대선, 총선마다 토론회를 하면 선거 당사자나 당의 이해관계인 등이 나타나서 꼭 있는 일인데, 자신의 자료를 들고와서 그 자료 안에서 이야기 하자는 주의이다. 저 자료 자체가 일부인데, 그 일부만 두고 그것만 놓고 이야기하면 대화의 주제가 일부의 일부만 놓고 이야기하는것이다. 이순신장군의 공과 사를 놓고, 원균과의 모함과 파직등의 고문서만을 놓고 위인 추앙은 좀 그렇지 않느냐 논리를 펴면 어 맞어 라고 할 수 밖에 없다. 그것은 토론이라고 하기가 어렵다. 참고하는 자료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전후 사정, 그리고 그 외에는 어떤 부분이 있지만 이런쪽을 보자면~ 이라고 선을 긋고 코너로 모는 자료보다, 자료의 한계를 우선 설명하고 토론의 주제를 세부로 가져가지 않고서야 일부를 정리한 발표 자료는 독이 되기 십상이다. 2. 지엽적인 부분 파고들기 말릴수도 없는 상황이라면 대체로 이거다. 저 짤의 상황은 종부세의 다양한 법적, 사회적, 심리적 특성을 모두 고려하지...